Toggle navigation
saladly
홈
포트폴리오
소개
프로필
수상경력
활동이력
문의
위생관리 안전관리
철저한 위생 관리 시스템을 통해 안전하고 깨끗한 급식 환경을 조성합니다. 식품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식품위생법 및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 위생 관리를 철저하게 수행합니다. 체계적인 위생 교육과 정기적인 위생점검을 통해 모든 직원의 위생 의식을 고취하고
안전한 급식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노력합니다
식재료 보관 및 관리 상태 확인
·
온도관리
냉장고와 냉동고의 온도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적정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냉장고는 4℃ 이하, 냉동고는 -18℃ 이하를 유지해야 합니다.
·
선입선출
식재료는 선입선출 방식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먼저 들어온 식재료를 먼저 사용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
보관용기
식재료를 보관할 때는 밀폐 용기를 사용하여 다른 식품과의 접촉을 방지해야 합니다. 또한,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
위생관리
냉장고와 냉동고 내부를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식재료가 떨어져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조리 및 배식 과정 점검
·
식재재세척
식재료 세척 시 깨끗한 물 사용, 세척 방법 준수 여부를 확인합니다.
·
조리 과정
조리 기구 및 도구의 청결 상태, 조리 온도 및 시간 준수, 식품 취급 위생 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합니다
·
배식 과정
배식 기구의 청결 상태, 개인 위생 준수 여부, 식품의 안전한 운반 및 배식, 잔반 관리 등을 확인합니다
손 위생
종사자는 식품을 취급하기 전과 후에 반드시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합니다. 손을 씻을 때는 비누와 물을 사용하여 30초 이상 문지르고, 흐르는 물로 깨끗하게 헹궈야 합니다.
마스크 착용
종사자는 조리 과정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여 침이나 콧물이 음식물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특히, 호흡기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해야 합니다.
위생 장갑
종사자는 식품을 직접 취급할 때는 위생 장갑을 착용해야 합니다. 위생 장갑은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고, 오염된 경우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
건강 관리
종사자는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식중독 등의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설사나 구토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즉시 업무에서 배제해야 합니다.
식재료 보관 및 관리 상태 확인
·
청소주기
주방, 식품 보관실, 배식장 등의 청소 주기 및 방법, 청소 용품 관리 등을 확인합니다.
·
폐기물관리
음식물 쓰레기, 일반 쓰레기, 재활용 쓰레기 등 분리 배출, 폐기물 보관 및 처리, 해충 및 악취 발생 방지 등을 확인합니다.
·
세척제관리
세척제 종류, 사용 방법, 보관, 잔여물 제거 등을 확인합니다.
·
청소도구
청소 도구의 청결 상태, 관리, 세척, 소독 등을 확인합니다
.
기록 및 문서 관리 점검
·
식품입고기록
식품 입고 시점, 공급업체, 품목, 수량, 유통기한 등을 기록합니다.
·
온도기록
냉장, 냉동 보관 식품의 온도를 정기적으로 기록합니다.
·
위생점검기록
위생 점검 결과, 개선 사항, 조치 내용 등을 기록합니다.
·
교육및훈력기록
종사자 위생 교육, 안전 교육, 식품 관련 법규 교육 등을 기록합니다.
점검 결과 및 개선 사항
·
점검결과분석
점검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합니다.
·
개선방안모색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합니다.
·
개선조치이행
수립된 개선 계획을 이행하고, 이행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지속적인관리
정기적인 위생 점검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 및 개선을 추진합니다
.